2016.10.15(토)
일출 조망 타임을 놓쳤다.
평상시 일출에 그리 목을 매는 성격이 아니라서
큰 아쉬움은 없다.
석포전망대에서 짐을 꾸려 들머리로 내려오는데,
앞서 가던 일행들이 부산해지고 시끄럽다.
빠르게 따라 가보니 놀라운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
어제 우리들을 태우고 천부에서 석포로 가던 버스 기사가,
석포에서 천부로 돌아가던 중 우리를 발견하고,
자신의 빈 버스에 올라타라고 하더니 이곳 석포둘레길 입구까지 태워다 준다.
1시간 30여 분 정도 포장도로를 걸어야 했었는데.......
이곳 울릉도 백패킹을 하며 느꼈던 점 가운데 커다란 하나.
버스 기사들이 모두 편하고 친절하다!
이때가 오전 9시경이다.
산에서 떨어지는 물을 그냥 마신다.
울릉도의 물은 어느 곳에 있든 식음이 가능하며,
물맛이 곳곳마다 다르고,
모두 다 맛있다.
육지에 와서도 그리운 울릉도 물맛.
석포둘레길은 그 옛날 석포에서 저동으로 넘어가던 길을 손 보아 만든 트레일 코스로.
등산로처럼 높낮이가 있는 길이 아니고,
그냥 평탄한 산책로다.
숲의 울창함이 제주올레길의 곶자왈길에 비유될 수 있을 정도다.
점심은 정매화곡쉼터에서.
옛날 이곳에 토착민인 정명학 씨가 살고 있어서 정미야골로 불리우던 곳으로,
지금은 아담한 정자와 쉼터가 마련되어 있다.
옆에 계곡도 흐르고 있어,
이곳에서 이른 점심을 먹는다.
우리가 점심을 먹는 동안.
수많은 도보여행객들이 지나친다.
여기서 걸음을 멈추었다.
내수전둘레길은 걷지 않고 석포둘레길만 걸은 셈이다.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점심을 해 먹었지만,
석포둘레길에서 있었던 시간은 네 시간에 지나지 않는다.
봉래폭포.
삼단폭포로 울릉읍 주민들의 상수원 역할을 한다.
석포둘레길 끝 지점에서 택시로 이동했으며(1만 5천원),
매표소에서 폭포로 가는 20여 분 동안 상쾌한 삼나무 숲을 지나게 된다.
클릭하면 확대 화면.
다시 도동으로 나오는 길은 버스를 선택한다.
'산과 길 > 백패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간령(새이령)옛길 백패킹 1일 (0) | 2016.11.21 |
---|---|
울릉도 백패킹 2일(2) 나리분지 그리고 신령수 약수터 가는 길 (0) | 2016.10.28 |
울릉도 백패킹 1일 도동해안산책로- 저동옛길- 석포전망대 (0) | 2016.10.24 |
용계골(용계계곡) 백패킹 (0) | 2016.08.15 |
속초 해수욕장 야영장 (0) | 2016.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