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과 길/비박산행

월출산 비박산행 2일

 

 

 

2013.11.4(월)

 

 

 

비박지 출발(9:25)_ 구정봉(10:10-10:40)_ 마애여래좌상(11:15)_

도갑사 갈림길(12:15)_ 억새밭(1:00-1:25)_ 도갑사(2:30)

 

 

 

 

바람이 지나는 길목에 텐트를 쳐서 걱정을 했는데,

어젯밤 바람과 좋은 사이로 지낸다.

아침에 눈을 뜨니 안개가 온세상을 덮고 있다.

자유새님은 일출을 보겠다며 천황봉 방향으로 향했지만, 나는 텐트 문을 열고 아침을 맞는다.

아쉽게도 아침노을의 붉은 기운은 나타나지 않는다.

 

 

 

콩나물된장국으로 아침을 간단히 먹고 출발한다.

구정봉에 올라 천황봉쪽을 바라보니 아직도 안개에 잠겨 있다.

언제나 걷힐까, 바람 부는 구정봉 위에서 30여 분을 기다렸지만

딱 한두 번 잠시 얼굴을 내밀다 다시 안개에 갇혀버린다.

 

 

 

구정봉에서 내려와 국보인 마애여래좌상을 찾아 내려간다.

사람의 발길이 뜸한 곳에 다소곳하게 앉아 있는 좌상을 보며 깊은 감동을 받는다.

그러나 더 큰 감동은 주변에 있는 삼층석탑에서 받는다.

그 탑의 형상은 물론 그곳에서 바라본 광경에 우리 둘은 모두 입을 벌린다.

 

 

 

다시 구정봉 방향으로 올라와 억새밭을 거쳐 도갑사로 내려간다.

도갑사 주차장에 빈 택시 몇 대가 기다리고 있다.

천황사 주차장까지 택시를 이용한다(1만 5천원).

 

 

 

오색으로 천지를 덮는 이 계절, 우리나라 어느 곳에 간들 아름답지 않은 곳이 어디 있겠는가.

그러나 그 가운데서도 월출산은 여러 요소가 어우러져 탁월한 모습을 보여준다.

수석 전시장과 같은 암릉의 도열, 단풍, 억새밭, 삼층석탑과 마애여래좌상.......

단지 이번 산행에서 아쉬웠던 것은 안개 때문에 그 아름다움을 모두 사진에 담지는 못하고,

마음속에 남겨두었다는 것이다.

그래도 행복했던  비박산행!

 

 

 

 

 

 

 

 

 

 

 

 

안개가 잔뜩 끼어 시야가 흐릿하다.

부지런한 자유새님은 일출을 보겠다고 텐트를 나서 천황봉 방향으로 향했으나,

게으른 나는 그냥 텐트 문을 열고 혹시나 있을 지 모를 일출의 장관을 감시한다.

예상한 대로 일출은 뚜렷한 임팩트 없이 지나간다.

 

 

 

 

 

 

 

 

 

 

 

 

 

왼쪽 바위능선 위에 찍힌 점 하나가 자유새님

 

 

 

 

 

 

 

 

 

 

 

 

 

우리가 오늘 걸어갈 길

 

 

 

 

 

 

 

 

 

 

 

 

 

 

 

 

 

 

 

 

 

 

 

 

 

 

 

 

 

 

 

 

 

 

 

 

 

 

 

 

 

 

 

 

 

 

 

 

 

 

 

 

 

 

 

 

 

 

 

 

 

 

 

 

 

 

 

 

 

 

 

 

 

 

 

 

 

 

 

 

 

 

 

 

 

 

 

 

 

 

 

 

 

 

 

 

 

 

 

 

 

 

 

 

 

 

 

 

 

 

 

 

 

 

 

 

 

 

 

 

 

 

 

 

 

 

 

 

 

 

 

 

 

 

 

 

 

 

 

 

 

 

 

 

 

 

 

 

 

 

 

 

 

 

두 사람 모두 식사를 간단히 하는 편이라 단출하게 아침을 먹는다.

 

 

 

 

 

 

 

 

 

 

 

 

 

 

 

 

 

 

 

 

 

 

 

 

 

 

 

 

 

 

 

 

 

 

 

 

 

 

 

 

 

 

 

 

 

 

 

 

 

 

 

 

 

 

 

 

 

 

 

 

 

 

 

 

 

 

 

 

 

 

 

 

 

 

 

 

 

 

 

 

 

 

 

 

맨 왼쪽이 구정봉 장군상, 저 위에 오를 것이다.

 

 

 

 

 

 

 

 

 

 

 

 

 

 

 

 

 

 

 

 

 

 

 

 

 

 

 

 

 

 

 

 

 

 

 

 

 

 

 

 

 

 

 

 

 

 

 

 

 

 

 

 

 

 

 

 

 

 

 

 

 

 

 

 

 

 

 

 

 

 

 

 

 

 

 

 

 

 

 

 

 

 

 

 

 

 

 

 

 

 

 

 

 

 

 

 

 

 

구정봉에는 아홉 개의 우물이 있다. 그래서 구정봉.

바람이 몹시 심하다.

우리는 여기서 천황봉의 안개가 걷히길 바라며 기다린다.

 

 

 

 

 

 

 

 

 

 

 

 

 

 

우물의 물이 바람에 파르르 떨고 있다.

아홉 개 우물 가운데 이 녀석에만 물이 있다.

 

 

 

 

 

 

 

 

 

 

 

 

 

 

 

 

 

 

 

 

 

 

 

 

 

 

 

 

 

 

 

 

 

 

 

 

 

 

 

 

 

 

안개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다 어느 순간 하늘이 열린다.

천황봉과 월출산 주능선이 아름답게 펼쳐진다.

 

 

 

 

 

 

 

 

 

 

 

 

 

 

 

 

 

 

 

 

 

 

 

 

 

 

 

다시 갇히고.......

 

 

 

 

 

 

 

 

 

 

 

 

 

 

 

 

 

 

 

 

 

 

 

 

 

 

 

 

다시 열리고

 

 

 

 

 

 

 

 

 

 

 

 

 

 

 

 

 

 

 

 

 

 

 

 

 

 

 

 

구정봉에서 내려 와 마애여래좌상으로 내려갈 때

천황봉이 다시 안개로부터 해방된다.

 

 

 

 

 

 

 

 

 

 

 

 

 

 

 

 

 

 

 

 

 

 

 

 

 

 

 

마애여래좌상.

구정봉에서 깊은 숲을 헤쳐 나가다 불쑥 만나게 되는 마애여래좌상.

 8미터가 넘는 좌상으로 이 앞에 섰을 때 얼마나 감동적이었는지 모른다.

마치 숨어 있는 보물을 찾은 느낌이다.

아쉬웠던 것은 해의 각도다.

바로 이 좌상 오른쪽 위에 해가 있어 카메라 각도를 잡기 어려웠다.

 

 

 

영암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중국 인도 동남아로 뻗어나가는 해로(海路)의 시발지였다. 

뱃길의 안전을 기원하며 서쪽을 향해 앉아 있다.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국보 144호다.

 

 

 

 

 

 

 

 

 

 

 

 

 

자유새님이 뭔가 줍더니 좌상 앞에 있는 배례석에 놓는다.

누군가 놓고 갔던 시전이 바람에 날려 간 것을 되돌려 놓은 것이다.

그 사람은 무엇을 빌고 갔을까?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삼층석탑에 간다.

특이하게도 지대석이 자연 암반으로 되어 있다.

그 기묘함에 놀랐지만 우리를 더욱 놀라게 한 것은.......

 

 

 

 

 

 

 

 

 

 

 

 

 

오른쪽 45도 방향에 마애여래좌상이 보이고 있다!

단풍 숲에 둘러싸인 채 은은한 미소를 짓는 여래좌상!

노을이 지는 시각이라면 더욱 기가 막힐 이 조화!

한동안 넋을 잃는다.

 

 

 

 

 

 

 

 

 

 

 

 

 

 

 

 

 

 

 

 

 

 

 

 

 

 

 

 

 

 

 

 

 

 

 

 

 

 

 

 

 

 

 

 

 

 

 

 

 

 

 

 

 

 

 

이제는 천황봉이 안개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그러나 시야는 여전히 깨끗하지 않다.

 

 

 

 

 

 

 

 

 

 

 

 

 

 

 

 

 

 

 

 

 

 

 

 

 

 

 

 

 

 

 

 

 

 

 

 

 

 

 

 

 

 

 

 

 

 

 

 

 

 

 

 

 

 

 

 

 

 

 

 

 

 

 

 

 

 

 

 

 

 

 

 

 

 

 

 

 

 

 

 

 

 

 

 

 

 

 

 

 

 

 

 

 

 

 

 

 

 

 

 

 

 

 

 

 

 

 

 

 

 

 

억새밭 전망대에 앉아서 잠시 휴식을 갖는다.

 

 

 

 

 

 

 

 

 

 

 

 

 

 

 

 

 

 

 

 

 

 

 

 

 

 

 

 

 

 

 

 

 

 

 

 

 

 

 

 

 

 

 

 

 

 

 

 

 

 

 

 

 

 

 

 

 

 

 

 

 

 

 

 

 

 

 

 

 

 

 

 

 

 

 

 

 

 

 

 

 

 

 

 

 

 

 

 

 

 

 

 

 

 

 

 

 

 

 

 

 

 

 

 

 

 

 

 

 

 

 

 

 

 

 

 

 

 

 

 

 

 

 

 

 

도갑사.

통일신라말 도선이 세웠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27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