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과 길/비박산행

새덕산 비박산행 2일

 

 

2014.8.23(토)

 

 

 

 

 

한여름 산에서 잘 때 늘 그러했던 것처럼,

윗도리를 벗어제끼고 침낭을 배에만 살짝 걸친 채 잠을 자다,

살짝 느껴지는 한기 때문에 한두 번 잠에서 깨어나 침낭 안으로 들어간다.

이렇게 한 세월도 가는구나.

 

 

 

 

 

 

 

 

 

 

 

 

 

 

 

 

 

 

 

 

 

 

 

 

 

 

 

 

 

 

 

 

 

 

 

 

 

 

 

 

 

 

 

 

 

 

 

 

 

 

 

 

 

 

 

 

 

 

 

 

 

 

 

 

 

 

 

 

 

 

 

 

 

 

 

 

 

아침식사를 하고 있을 때 땅주인 형제가 낫을 들고 나타났다.

열살 때 이곳에서 육이오를 맞이했다는 형은,

당시 치열했던 전투 이야기를 하며 한참동안 반공 강연을 한다.

그는 자라서 공직 생활을 했고, 이 근처 숲 만 오천여 평의 소유주란다.

화전민 후대들이 모두 그렇게 된 것은 아니리라.

그는 공직 생활을 했기 때문에 불하 받는 요령을 알아 그리했을 것이고,

대부분의 화전민들은 빈손으로 내려가 가난을 대물림하며 살고 있으리라.

 

 

 

 

 

 

 

 

 

 

 

 

 

 

 

 

예전 그들 형제가 놀았던 마당에 앉아 커피 한 잔을 즐긴다.

 

 

 

 

 

 

 

 

 

 

 

 

 

 

 

 

아침식사를 마치고 주변을 둘러보기로 한다.

근처에 또 다른 숲지대가 펼쳐져 있다.

 

 

 

 

 

 

 

 

 

 

 

 

 

 

 

 

 

 

 

 

 

 

 

 

 

 

 

 

 

 

 

 

 

 

 

 

 

 

 

 

 

 

 

 

 

 

 

 

 

 

 

 

 

 

 

 

 

 

 

 

 

 

 

 

 

 

 

 

 

 

 

 

 

 

 

 

 

 

 

 

 

 

 

 

 

 

 

 

 

 

 

 

 

 

 

 

 

 

 

 

 

 

 

 

 

 

 

 

 

 

 

 

 

 

 

 

 

 

 

 

 

 

 

 

 

 

 

 

 

 

 

 

 

 

 

 

 

 

 

 

 

 

 

 

 

해먹 위에 올라가 멍 때리기.

어제는 날씨가 좀 쌀쌀해 모기가 별로 없었는데 오늘은 상황이 다르다.

벗은 윗몸에 그 녀석들은 빨대를 꼽고 나는 모기향을 피운다.

 

 

 

 

 

 

 

 

 

 

 

 

 

 

 

 

 

 

 

 

 

 

 

 

 

 

 

 

 

 

 

 

 

 

 

 

 

 

 

 

 

 

 

 

 

 

 

 

 

 

 

 

 

 

 

 

 

 

 

 

 

 

 

 

 

 

 

 

 

 

 

 

 

 

 

 

 

 

 

 

 

 

 

 

 

 

 

 

 

 

 

 

 

 

 

 

 

 

 

 

 

 

 

 

 

 

 

 

 

 

 

 

 

먹어야 산다

 

 

 

 

 

 

 

 

 

 

 

 

 

 

 

 

 

 

 

 

 

 

 

 

 

 

 

 

 

 

 

 

 

 

 

 

 

 

 

 

 

 

 

 

 

 

 

 

다시 멍 때리기.

오수를 한 시간 정도 즐겼을까?

발자국 소리에 놀라 윗도리를 걸치며 일어나니 부부가 비박산행을 오셨다.

다른 곳에 텐트를 세우려는 그들을 기다리게 하고 나는 철수를 한다.

 

 

 

 

 

 

 

 

 

 

 

 

 

 

 

 

장자골 방향으로 하산을 한다.

 

 

 

 

 

 

 

 

 

 

 

 

 

 

 

 

 

 

 

 

 

 

 

 

 

 

 

 

 

 

 

 

 

 

 

 

 

 

 

 

 

 

 

 

 

 

 

 

 

 

 

 

 

 

 

 

 

 

 

 

 

 

 

 

 

 

 

 

 

 

 

 

 

 

 

 

 

 

 

 

 

 

 

 

 

 

 

 

 

 

 

 

 

 

 

 

 

 

 

 

 

 

 

 

 

 

 

 

 

 

 

 

 

계곡을 따라 내려오는데, 중간중간 길이 사라진다.

그러나 잠시 물길을 따라 걷다 보면 계곡 옆에 길이 보인다.

땅주인에 따르면 예전에 좋은 길이 있었는데, 홍수에 유실이 되었고,

새 길은 온통 잡목으로 엉켜져 있어,

반바지, 짧은 티를 입고 걷는다면 피부 상처가 말이 아니다.

30여 분간 그런 길을 걷는다.

 

 

 

 

 

 

 

 

 

 

 

 

 

 

 

 

밭에 이르고.......

 

 

 

 

 

 

 

 

 

 

 

 

 

 

 

 

그 끝에 땅주인 동생 집이 있다.

 

 

 

 

 

 

 

 

 

 

 

 

 

 

 

 

잠시 내려오면 차도.......

 

 

 

 

 

 

 

 

 

 

 

 

 

 

 

 

매년 10월 초가 되면

국제 재즈 페스티벌이 열리는 자라섬.

 

 

 

 

 

 

 

 

 

 

 

 

 

 

 

 

여기서 잠시 머뭇거린다.

택시를 불러?

오늘은 토요일, 단골 그 기사, 바쁠텐 데 외진 이곳으로 오라고 하기가 좀 미안하다.

걸어서 가기로 한다.

50여 분 후 가평역에 도착하고 나서 후회를 한다.

산길과는 다른 차도를 한 시간 가까이 걷는다는 것은 무리다.

 

 

 

 

 

 

 

 

 

 

 

 

 

 

 

 

 

 

 

 

 

 

 

 

 

 

 

 

 

 

 

 

강원도 춘천시와 경기도 가평군의 경계, 경강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