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과 길/백패킹

금병산 백패킹 2일

 

 

 

2015.5.25(월)

 

 

 

 

 

 

 

 

 

 

 

 

능선이 동쪽을 가리고 있어 조금은 늦게 햇빛이 숲에 찾아왔다.

아침 햇빛이 서서히 나무 사이를 헤치고 들어오는 광경을 바라볼 때의 쾌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지독한 가뭄의 연속이다.

정수기를 준비해 왔지만 혹시나 해서 물 2리터도 가져왔는데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금년에 유독 강원도는 가뭄이 심하다.

 

 

 

 

 

 

 

 

 

 

 

 

 

 

 

 

 

 

 

 

 

 

 

 

 

 

 

 

 

 

LNT

 

 

 

 

 

 

 

 

 

 

 

 

 

 

 

상당히 충격적이었던 순간이었다.

시간이 너무 가지 않아 느긋하게 짐을 꾸린 후,

능선으로 다시 올라가 정상을 거쳐 김유정역으로 하산할 생각이었다.

비박지에서 임도로 나와 시계를 보는 순간,

정말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어 어젯밤 배터리 때문에 꺼두었던 스마트 폰을 꺼냈다.

아차차!

시계는 8시 50분인데 스마트 폰은 11시 20분이다.

이 엄청난 시차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이 우둔함이여!

숲에 있을 때 전혀 모르다 밖으로 나와서야 눈치를 채다니......

시계의 크라운 나사가 풀리고 어떤 작동에 의해 기준 도시가 바뀌는 바람에

일어난 오류다.

지난달 도쿄 여행 때 구입한 카시오의 프로트렉 prw 6000yt.

일본 아마존의 구매자 후기를 보면 바로 이런 크라운 문제를 지적하는 글이 심심치 않게 올라와 있다.

 

 

 

 

 

 

 

 

 

 

 

 

 

 

 

정상으로의 등산을 포기하고 임도를 따라 내려간다.

어제 춘천으로 내려올 때 친구의 빙모상 문자를 받았다.

춘천 시내의 장례식장에 들렸다 서울로 가려면 지금 하산을 해야 한다.

임도를 따라 원창삼거리를 목적지로 삼아 걷는다.

숲에 있을 때는 몰랐는데 엄청난 열기가 지표면에서 올라온다.

 

 

 

 

 

 

 

 

 

 

 

 

 

 

 

 

 

 

 

 

 

 

 

 

 

 

 

 

 

 

 

 

 

 

 

 

 

 

 

 

 

 

 

 

 

큰골.

여기서 금병산 정상으로 오를 수도 있으나,

조경업체가 길을 막고 있다.

 

 

 

 

 

 

 

 

 

 

 

 

 

 

 

 

 

 

 

 

 

 

 

 

 

 

 

 

 

 

 

 

 

 

 

 

 

 

 

 

 

 

 

 

 

 

 

 

 

 

 

 

 

 

 

 

 

 

 

 

 

 

그렇다.

비박지를 떠나 임도를 따라 걷다가 뒤를 돌아보니 연기가 비박지 근처에서 피어오르고 있었다.

겁이 덜컥 나 뛰어갔는데,

연기가 비박지보다 더 아래에서 올라오고 있었다.

바로 저 녀석이다.

 

 

 

 

 

 

 

 

 

 

 

 

 

 

 

봉우이마을.

엄청난 견공들의 환영 인사를 받으며 걷는다.

 

 

 

 

 

 

 

 

 

 

 

 

 

 

 

휴우 덥다 더워

 

 

 

 

 

 

 

 

 

 

 

 

 

 

 

 

 

 

 

 

 

 

 

 

 

 

 

 

 

 

 

 

굿바이 금병산

 

 

 

 

 

 

 

 

 

 

 

 

 

 

 

 

 

 

 

 

 

 

 

 

 

 

 

 

 

 

원창삼거리에 새술막막국수집이 둘 있다.

길가의 원조집 그리고 안쪽의 새술막막국수집.

어느 집이 진짜 원조인지는 모르겠지만 내 입맛엔 길가의 원조집이 맞는다.

곱배기를 주문하니 말 그대로 국수사리 두 뭉치를 넣어서 주신다.

이 집에서 택시 운전을 하는 초등학교 동기를 불러 춘천으로 나오며 이야기 해 보니,

두 집 모두 주인이 몇 번씩 바뀌어 옛맛을 잃었다 한다.

어쩐지 예전만큼 감동이 없더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