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과 길/비박산행

조계산, 송광사_ 장군봉_ 선암사 비박산행 2일

 

 

 

2012.11.7(수)

 

 

비박지 출발(8:45)_ 장박골정상((9:40)_ 장군봉정상(10:20)_ 선암사(12:00)

 

 

 

 

 

어젯밤 대단한 바람이 불었다. 그러나 초저녁과는 다른 바람이었다.

초저녁엔 동물 울음소리를 내며 송광사에서 올라온 바람이 능선을 넘어 선암사로 내려갔다.

그러나 밤바람은 달랐다.

송광사에서 바람이 밀물처럼 쏴아하고 올라왔다가는 다시 내려가면서 올라오는 바람과 마주쳤다.

그리고 다시 밀물처럼 밀려오는 바람.

나무들은 파도에 부딪히는 바위들처럼 밤새 울었다.

 왼쪽의 송광사는 파도소리가 요란했고, 오른쪽의 선암사 방향은 고요했다. 마치 밤하늘 별처럼.

결국 내 누운 자리는 밤하늘 별을 보며 파도 소리를 듣는 해변가 모래사장이었다.

조계산 비박산행을 마지막까지 망설였던 내 자신을 다시 한번 바보로 만든 밤이었다.

 

 

 

 

 

 

 

 

 

 

 

 

 

 

 

 

 

 

 

 

 

 

 

 

 

 

 

 

 

 

 

 

 

 

 

 

 

 

 

 

 

 

 

 

 

 

남쪽 산은 아직도 단풍철이겠지 생각한 것은 착각이었다.

적어도 이 산의 능선은 이미 겨울을 준비하고 있었다.

장박골삼거리, 여기서 바로 선암사로 내려갈 수도 있으나

직진해 장군봉으로 향한다.

 

 

 

 

 

 

 

 

 

 

 

 

 

 

 

 

 

 

 

물푸레나무

 

 

 

 

 

 

 

 

 

장박골정상

 

 

 

 

 

 

 

 

 

 

바람은 아직도 잦아들지 않고 있었다.

 

 

 

 

 

 

 

 

 

 

왼쪽봉우리가 연산봉이고 오른쪽 움푹 들어간 곳이 어젯밤 잠을 잔 연산사거리

 

 

 

 

 

 

 

 

 

 

조계산 제일 높은 곳, 장군봉정상

 

 

 

 

 

 

 

 

 

 

 

 

 

 

 

 

 

 

 

 

 

 

 

 

 

 

 

 

하산하는 길 마지막에 10여 명의 산행객을 만나긴 했지만, 그 전엔 단 세 사람만 만났다.

산행객에 익숙했던 이 새도 오늘 사람을 만나지 못해 외로웠던 듯 한동안 내 주위에서 맴돌았다.

 

 

 

 

 

 

 

 

 

 

 

 

 

 

 

 

 

 

 

송광사 뜰의 단풍은 모두 떨어지고 없었지만,

선암사 단풍은 아직 잠들지 않고 있었다.

 

 

 

 

 

 

 

 

 

 

 

 

 

 

 

 

 

 

 

 

 

 

 

 

 

 

 

 

 

 

 

 

 

 

 

 

 

 

 

 

 

 

 

 

 

 

 

 

 

 

 

 

 

 

 

 

 

 

 

 

 

 

 

 

 

 

 

 

 

 

 

 

 

긴 단풍길 끝에 나타난 선암사.

송광사와 같이 매력적이지만 전혀 다른 느낌의 사찰.

마치 잘 보존된 한옥 마을 같은 분위기다.

송광사가 산문이라면 선암사는 시다.

송광사에서 품었던 많은 이야기를 이곳 선암사에서 풀어놓는다.

 

 

 

 

 

 

 

 

 

 

대단한 사찰이지만 창건에 대한 확실한 기록이 없다.

단지 여러 기록을 참고해 일반적으로 신라 법흥왕 시절로 추정하고 있다.

확실하지 않은 그것이 이 사찰의 오묘한 분위기와 오히려 어울린다.

 

 

 

 

 

 

 

 

 

 

 

 

 

 

 

 

 

 

어떤 종교 시설 내에 들어와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종가집 마당을 걷는 기분이다.

 

 

 

 

 

 

 

 

 

 

 

 

 

 

 

 

 

 

 

 

 

 

 

 

 

 

 

 

때로는 작은 선비촌을 걷는 기분이기도 하고

 

 

 

 

 

 

 

 

 

 

 

 

 

 

 

 

 

 

 

이웃집 마당을 훔쳐보는 기분이기도 하고

 

 

 

 

 

 

 

 

 

 

 

 

 

 

 

 

 

 

 

 

 

 

 

 

 

 

 

 

신라시대 삼층석탑

 

 

 

 

 

 

 

 

 

 

 

 

 

 

 

 

 

 

 

 

 

 

 

 

 

 

 

 

뒤에 장군봉이 보인다

 

 

 

 

 

 

 

 

 

 

 

 

 

 

 

 

 

 

 

대한민국 사찰 해우소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곳.

어쩌면 대한민국 화장실 가운데 가장 유명한 해우소.

우리나라 화장실 가운데 유일한 문화재로 지정된 곳.

근심거리 없어 안에는 들어가지 않았다. 다음엔 걱정을 안고 와서 들어가 보리.

 

 

 

 

 

 

 

 

 

 

 

 

 

 

 

 

 

 

 

끝에 보이는 건물이 해우소

 

 

 

 

 

 

 

 

 

 

 

 

 

 

 

 

 

 

 

 

 

 

 

 

 

 

 

 

 

 

 

 

 

 

 

 

 

 

 

 

 

 

 

 

 

 

삼인당, 불교와 관련이 있는 이름이라 하나 뭐 복잡하니 중생은 그 뜻을 알리 없다.

내 관심을 끄는 것은 저 조그만 섬 위의 꽃무릇이다.

잎이 나면 꽃이 지고, 꽃이 피면 잎이 진다는 꽃무릇.

평생 서로를 그리워하며 살리라.

 

 

 

 

 

 

 

 

 

 

 

 

 

 

 

 

 

 

 

신선이 내려왔다는 강선루

 

 

 

 

 

 

 

 

 

 

올라갔다는 승선교

 

 

 

 

 

 

 

 

 

 

특별한 기운이 감돌고 남다른 매력이 넘치는 두 사찰을 이틀에 걸쳐 살펴보고,

하룻밤 그 두 사찰 사이의 능선에서 잠을 잔다는 것은

오래 남을 추억이다.

 

 

 

 

 

 

 

 

27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