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과 길/비박산행

오대산 속세골- 안개자니골 비박산행 2일

 

2015.7.5(일)

 

 

 

 

출발, 속세골(8:15)- 능선(11:00)- 안개자니골(11:35)-

점심(11:50-1:30)- 개자니골(2:35)- 산행 종료(3:55)

 

 

 

 

 

 

 

 

 

 

 

 

 

 

 

 

 

 

 

 

 

 

 

 

 

 

 

 

 

 

 

 

 

 

 

 

 

 

 

 

 

 

 

 

 

 

 

 

 

 

 

 

 

 

 

 

 

 

어젯밤의 편안한 잠자리 그리고 오늘 아침의 싱그러운 숲

 

 

 

 

 

 

 

 

 

 

 

 

 

 

 

 

 

비박지를 출발하자마자

속세골과 안개자니계곡 합수점에서 속세골로 접어든다.

여기서부터는 길이 더욱 희미해지고 숲은 더욱 울창하다.

 

 

 

 

 

 

 

 

 

 

 

 

 

 

 

 

 

 

 

 

 

 

 

 

 

 

 

 

 

 

 

 

개자니골보다는 못하지만 그래도 풍부한 계곡수가 맑게 흐르고 있다.

물소리도 조용조용~~

발을 담그기조차 미안할 정도로 투명했던 옥빛 계곡수.

 

 

 

 

 

 

 

 

 

 

 

 

 

 

 

 

 

 

 

 

 

 

 

 

 

 

 

 

 

 

 

 

 

당귀가 강인한 생명력으로 바위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 덕에 사람들의 손을 타지 않고 오랜 세월 살아 있다.

 

 

 

 

 

 

 

 

 

 

 

 

 

 

 

 

 

 

 

 

 

 

 

 

 

 

 

 

 

 

 

 

 

오늘도 롤 매트리스가 산행을 방해했다.

그만큼 오지.

롤 매트리스가 편하긴 하지만 이런 문제로

써머레스트의 NeoAir XLite Sleeping Pad를 구매하려 하는데,

내가 단골로 들어가는 미국 쇼핑몰에서 품절된 상태다.

그렇다고 7,8만 원 더 주고 국내에서 사긴 그렇고.......

 

 

 

 

 

 

 

 

 

 

 

 

 

 

 

 

 

골짜기 곳곳에서 자라고 있는 속세풀.

그래서 속세골.

 

 

 

 

 

 

 

 

 

 

 

 

 

 

 

 

 

가시오가피

 

 

 

 

 

 

 

 

 

 

 

 

 

 

 

 

 

안부에 오를 즈음 운해가 이리저리 넘나든다.

선자령에서 노인봉 방향으로 걷는 백두대간꾼들을 여럿 만났다.

아니 이렇게 백두대간을 걷는 사람들이 많았던가?

그들의 발걸음이 백두산 천지까지 닿는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이번 비박산행은 산 정상을 찍지 않았기 때문에

백두대간 도중에 있는 이 기둥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

속세골에서 능선에 오른 다음,

노인봉에 다녀올 수도 있었지만 여러 이유로 단념했다.

 

 

 

 

 

 

 

 

 

 

 

 

 

 

 

 

 

 

 

 

 

 

 

 

 

 

 

 

 

 

 

 

능선에서 안개자니계곡으로 진입한다.

다시 원시림 속으로.

 

 

 

 

 

 

 

 

 

 

 

 

 

 

 

 

 

개자니골 안쪽에 있다 하여 안개자니계곡

 

 

 

 

 

 

 

 

 

 

 

 

 

 

 

 

부러울 것 없는 점심.

특히 후배 부부가 갖고 온 더덕된장에 젓가락이 자꾸 간다.

 

 

 

 

 

 

 

 

 

 

 

 

 

 

 

 

 

 

 

 

 

 

 

 

 

 

 

 

 

 

 

 

 

 

 

 

 

 

 

 

 

 

 

 

 

 

 

 

 

부채폭포.

우리는 어제 이 근처에서 잠자리를 폈으며,

이제부턴 개자니골(계곡의 형상이 잠 자는 개를 닮았다 하여)을 따라 내려간다.

 

 

 

 

 

 

 

 

 

 

 

 

 

 

 

 

 

 

 

 

 

 

 

 

 

 

 

 

 

 

 

 

 

 

 

 

 

 

 

 

 

 

 

 

 

 

 

 

 

 

 

 

 

 

 

 

 

 

 

 

 

 

 

 

 

 

 

 

 

 

 

 

 

 

 

 

 

 

 

 

 

 

 

명경지수 明鏡止水

이런 계곡수를 보면 마음도 맑아지는 것은 어떤 이치일까? 

 

 

 

 

 

 

 

 

 

 

 

 

 

 

 

 

 

 

 

 

 

 

 

 

 

 

 

 

 

 

 

 

 

 

 

 

 

 

 

 

 

 

 

 

 

 

 

 

 

 

 

 

 

 

 

 

 

 

 

 

 

 

 

 

 

 

 

 

 

 

 

 

 

 

 

 

 

 

 

 

 

 

 

 

 

 

 

 

 

 

 

 

 

 

 

 

 

 

 

 

 

 

 

 

 

 

 

 

 

 

 

 

 

 

 

 

 

 

 

 

 

 

 

 

 

 

 

 

 

 

 

어제 출발할 때 환송의 춤을 추며 무사 비박산행을 빌었던  양봉들과 재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