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길/백패킹

여주 파사성- 신륵사- 강천섬 백패킹 1일

난다데비 2015. 11. 16. 09:00

 

2015.11.6(금)

 

 

 

 

주말에 전국적으로 비가 온다는

기상청의 강력한 일기예보.

하루는 비를 맞을 각오로

금토요일에 떠나는 서울 근교의 나홀로 가벼운 백패킹.

여주의 파사성 신륵사를 거쳐 강천섬에서 하룻밤 보낼 계획을 세운다.

 

 

 

 

 

 

 

 

 

 

 

 

 

 

파사성은 원래 알고 있던 곳이 아니다.

강천섬을 종착지로 해,

이 자료 저 자료 뒤지다 찾아낸 곳.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왼쪽 길로 올랐다 오른쪽으로 내려온다.

아무리 늦게 걸어도 한 시간이면 족히 성을 한 바퀴 돈다.

 

 

 

 

 

 

 

 

 

 

 

 

 

 

 

 

 

 

 

 

 

 

 

 

 

 

 

 

 

 

 

 

 

 

 

 

 

 

 

 

 

 

 

 

 

 

 

 

 

 

 

 

 

 

 

 

 

 

 

 

 

 

 

 

 

 

 

 

 

 

 

 

 

 

 

 

 

 

 

 

 

 

 

 

 

 

 

 

 

 

 

 

 

 

 

 

 

 

 

 

 

 

 

 

오르며 왼쪽을 바라보니 기도처가 보인다.

 

 

 

 

 

 

 

 

 

 

 

 

 

 

 

 

정상.

2세기 신라 파사왕 시절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으로,

임진왜란 때 승려 의암이 용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둘레 1.8Km.

그런데 이 작은 나라 땅덩어리 곳곳에 왜 이리도 많은 산성이 있지?

 

 

 

 

 

 

 

 

 

 

 

 

 

 

 

마애여래입상으로 가는 길, 정상에서 5분 여 거리다.

 

 

 

 

 

 

 

 

 

 

 

 

 

 

 

 

 

 

 

 

 

 

 

 

 

 

 

 

 

 

 

 

 

 

산성 바로 밑이 막국수로 유명한 천서리다.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홍원막국수에서 점심을 먹는다.

그런데 소문만큼 맛의 감동은 없다.

뭐 말 그대로 막국수니까.

 

 

 

 

 

 

 

 

 

 

 

 

 

 

 

 

신륵사.

예전에 참 많이 다녔던 곳, 오랫만에 찾는다.

 

 

 

 

 

 

 

 

 

 

 

 

 

 

 

 

 

 

 

 

 

 

 

 

 

 

 

 

 

 

 

 

 

우리나라 사찰은 대부분 산속에 칩거하고 있으나,

신륵사는 남한강을 내려다보고 있다.

그 특징을 가장 잘 대변하고 있는 강월헌, 그러나 지금 이 시각 달은 보이지 않는다.

 

 

 

 

 

 

 

 

 

 

 

 

 

 

 

 

고려시대 후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이 되는 삼층석탑.

당시 이 탑을 세웠던 이의 마음은 천년이 지난 지금도 남아 남한강을 굽어 보고 있다.

 

 

 

 

 

 

 

 

 

 

 

 

 

 

 

 

 

 

 

 

 

 

 

 

 

 

 

 

 

 

 

 

 

고려말 공민왕사였던 나옹이 심었다는 은행나무,

관세음보살상의 나뭇가지가 이채롭다.

 

 

 

 

 

 

 

 

 

 

 

 

 

 

 

 

고려시대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전탑.

신라시대 전탑은 벽돌로 빈 틈 없이 세웠으나,

이 전탑은 벽돌과 벽돌 사이에 면토가 있다.

 

 

 

 

 

 

 

 

 

 

 

 

 

 

 

 

 

 

 

 

 

 

 

 

 

 

 

 

 

 

 

신륵사 뒤 봉황 꼬리 봉미산, 코끝을 자극하는 소나무가 도열하고 있다.

한 바퀴 돌아본다.

 

 

 

 

 

 

 

 

 

 

 

 

 

 

 

 

생뚱맞게 가끔씩 나타나는 꽃꽃꽃......

머리를 스치는 생각, 수목장!

몇몇 나뭇가지에도 그 아래 묻힌 영혼의 명패가 달려 있었다.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전설에 의하면 신라 진평왕 시절 원효대사가 주춧돌을 놓았다 한다.

다른 사찰들과는 달리 강가에 있는 것은,

한강의 상류 지역 범람과 관계가 있지 않나 추측되고 있다.

 

 

 

 

 

 

 

 

 

 

 

 

 

 

 

 

 

 

 

 

 

 

 

 

 

 

 

 

 

 

 

 

 

 

 

 

 

 

 

 

 

 

 

 

 

 

 

 

 

 

 

여럿이 왔을 때는 잘 보이지 않던 것들이

오늘은 혼자 오니 많이 보인다.

 

 

 

 

 

 

 

 

 

 

 

 

 

 

 

 

 

 

차량 10여 대 조금 넘게 세울 공간이 있는 곳,

평일인데도 자리가 꽉 찼지만 주차요원은 보이지 않는다.

 

 

 

 

 

 

 

 

 

 

 

 

 

 

 

 

주차장 바로 옆 둑방에 올라서면 남한강 물줄기에 둘러싸인 강천섬이 보인다.

주차장에서 10여 분 거리다.

 

 

 

 

 

 

 

 

 

 

 

 

 

 

 

 

 

 

 

 

 

 

 

 

 

 

 

 

 

 

 

 

 

 

 

 

 

 

 

 

 

 

 

 

 

 

 

 

 

 

 

 

 

 

 

 

 

 

 

 

 

 

 

 

 

 

 

 

 

 

 

내일 비가 올 것이 확실한 상태,

텐트 대여섯 동이 모두 비를 피할 수 있게 지붕 있는 데크 근처에 세워져 있다.

나는 은행나무 우거진 길 한쪽에 타프와 함께 힐레베르그 악토로 내 집을 세운다.

 

 

 

 

 

 

 

 

 

 

 

 

 

 

 

 

집을 짓고 상을 차리다......아차차차!

그만 버너를 빼놓고 왔다!

지난번 우두산 비박산행 시 배낭에서 뺐는데 그만 깜빡했던 것.

다행히 주변의 다른 텐트에서 하나 얻어 사용한다.

 

 

 

 

 

 

 

 

 

 

 

 

 

 

 

스프에 연어구이

 

 

 

 

 

 

 

 

 

 

 

 

 

 

 

 

그리고 오뎅탕

 

 

 

 

 

 

 

 

 

 

 

 

 

 

 

 

 

금세라도 비가 올 듯한 날씨다.

그래도 난 든든하다. 타프가 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