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길/백패킹

소매물도등대길_ 매물도해품길 백패킹 1일(1)

난다데비 2015. 4. 15. 09:00

 

2015,4,10(금)

 

 

 

 

새벽 0시 30분 통영으로 향한다.

이번엔 1박 2일 일정으로

소매물도등대길과 매물도해품길을 걸을 예정이다.

 

 

 

 

 

 

 

 

 

 

 

 

 

 

 

4시가 조금 넘은 시각, 통영터미널에 도착한다.

택시를 타고 여객선터미널로 간 다음,

근처 식당에서 시락국(시레기국)으로 통영 여행을 시작한다.

 

 

 

 

 

 

 

 

 

 

 

 

 

 

 

7시에 통영여객선 터미널을 출발한 배는 약 1시간 20분만에 소매물도에 도착한다.

처음 섬 여행을 다닐 때는 배 2층에 올라 서서 이런저런 풍경을 찍었지만,

요즈음은 배에 올라타는 즉시 선실로 들어가 코를 골기 일쑤다.

눈을 뜨니 소매물도다.

 

 

 

 

 

 

 

 

 

 

 

 

 

평일이라 그런지 관광객도 별로 없고,

그 유명한 소매물도 호객꾼들도 없다.

마침 근처에서 케이블 티브로 추정되는 카메라가 어떤 중년 신사를 따라 움직이고 있었다.

아마 섬여행 특집을 찍는 모양이구나 생각하고 등짐을 정리하는데,

그 신사 내게로 다가와 말을 거니 자연스레 인터뷰 자리가 마련되었다.

본인도 백패킹을 무척 좋아했는데 요즈음은 허리 문제로 아쉽게 쳐다만 본다는 것,

섬에 들어와 텐트를 치려 했는데 주민들 반대로 선착장 옆에 간신히 세웠다는 등......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데 언어에 향기가 있어 호감이 간다.

카메라 맨이 누군지 아시겠냐고 물어 고개를 저었다.

만화가 허영만 씨란다. 허얼~~.

 

 

 

 

 

 

 

 

 

 

 

 

 

 

통영의 여섯 섬에 걸쳐 만들어진 바다백리길.

소매물도의 등대길과 매물도의 해품길은 그 가운데 하나다.

 

 

 

 

 

 

 

 

 

 

 

 

 

 

선착장에 내려 앞에 있는 언덕을 올라 마을길을 자나면 폐교와 관세역사박물관이 나오고,

그곳에서 등대섬을 갔다가 폐교로 다시 돌아온 다음,

해안가를 따라 남매바위를 거쳐 걷는 길이 소매물도등대길이다.

내려서 돌아올 때 저 해벽을 지나게 된다.

 

 

 

 

 

 

 

 

 

 

 

 

 

 

 

 

 

 

 

 

 

 

 

 

 

 

 

 

 

 

 

 

 

 

 

 

 

 

 

 

 

 

 

 

 

 

바위섬 가익도

 

 

 

 

 

 

 

 

 

 

 

 

 

 

 

예전에 밀수꾼들을 감시하던 초소가 있던 곳

 

 

 

 

 

 

 

 

 

 

 

 

 

 

소매물도의 상징이라 말할 수 있는 등대섬.

지금 이곳은 소매물도에서 제일 높은 지점인 망태봉 정상.

등대섬 왼쪽에 촛대바위.

촛대바위 아래에는

 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진시황의 신하가 다녀갔다는 굴씽이굴이 있다.

 

 

 

 

 

 

 

 

 

 

 

 

 

 

공룡바위.

공룡은 바다를 그리워한다.

 

 

 

 

 

 

 

 

 

 

 

 

 

 

 

 

 

 

 

 

 

 

 

 

 

 

 

 

 

 

 

 

 

 

 

 

 

 

 

 

 

 

 

 

 

 

 

 

 

 

 

 

 

 

 

 

 

 

 

 

 

 

 

 

 

 

 

 

 

 

 

 

 

 

 

 

 

 

 

 

 

 

 

 

 

 

 

 

 

 

 

 

 

 

 

 

 

 

 

 

 

 

 

 

 

 

 

 

 

 

 

 

 

 

 

 

 

 

 

 

 

 

 

 

 

 

 

 

 

 

 

 

 

 

 

 

 

 

 

 

 

 

 

 

 

 

 

 

 

 

 

 

 

 

 

 

 

 

 

 

 

 

 

 

 

 

 

소매물도와 저 등대섬은 하루에 두 번씩 길이 열린다.

만일 저 등대섬에 꼭 가고 싶다면 미리 물때를 확인하고 소매물도에 가야 한다.

오늘 나는 저곳에 갈 수 없다는 것을 이미 알고 왔으니 여기서 발을 돌려야 한다.

정상에 오르고

그곳에 가야만 제맛이리요.

 

 

 

 

 

 

 

 

 

 

 

 

 

 

 

 

 

 

 

 

 

 

 

 

 

 

 

 

 

 

 

 

 

 

 

 

 

 

 

 

 

 

 

 

 

 

 

 

 

 

 

 

 

 

 

 

 

 

 

공룡바위 건너편 저 섬은 매물도, 그리고 통신탑이 서 있는 곳은 장군봉 정상,

오늘밤 저 위에서 잠들 것이다.

 

 

 

 

 

 

 

 

 

 

 

 

 

 

 

 

 

 

 

 

 

 

 

 

 

 

 

 

 

 

소매물도에는 이처럼 독사 경고판이 이곳저곳에 붙어 있다.

 샛길로 들어서 자연 훼손을 할까 봐 겁을 주기 위해 붙여 놓은 곳도 있겠지만,

이 경고판은 폐교 정문 앞에 붙어 있어 실제 상황인 듯 싶다.

오를 때 이 팻말을 보고 찜찜해 들어가지 않았는데,

내려올 때는 발을 들이밀었다.

 

 

 

 

 

 

 

 

 

 

 

 

 

 

 

 

 

 

 

 

 

 

 

 

 

 

 

 

 

 

폐교에서 학교 옆으로 빠지는 해안길을 따라 내려오다 만나는 남매바위.

 

 

 

 

 

 

 

 

 

 

 

 

 

 

 

 

 

 

 

 

 

 

 

 

 

 

 

 

 

남매바위 직전, 한 사람이 쓰러져 있고 일행 네 사람이 어쩔줄 몰라 쩔쩔매고 있었다.

다리를 다쳤구나 생각해 일단 지나간 다음 배낭을 뒤져 맨소래담 로션을 찾는데,

어라, 일본말을 한다. 심하게 다쳐 전혀 움직이지 못한다. 119전화.

그런데 참 행정 체계라는 것이 좀 한심하다.

소방서, 해경, 파출소.......돌아가며 똑 같은 질문을 계속 반복한다.

그래도 짧은 시간 내에 해경선이 도착해 그들을 신속히 구조했다.

저 배가 바로 해경선.

선착장에서 다시 만났을 때 그 일본인들은 고맙다며 연신 고개를 숙인다.

그들은 저 배를 타고 해경들과 함께 통영으로 나갔고 나는 매물도로 가는 배를 기다린다.

 

 

 

 

 

 

 

 

 

 

 

 

 

 

 

 

 

 

 

 

 

 

 

 

 

 

 

 

 

 

 

 

 

 

 

 

 

 

 

 

 

 

 

멍게비빔밥으로 점심

 

 

 

 

 

 

 

 

 

 

 

 

 

 

12시 40분 배를 타고 이웃 매물도로 향한다.

통영에서 1항차 배를 타고 와, 2항차 배로 매물도에 갈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