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길/비박산행

용문산 백운봉 비박산행 2일

난다데비 2013. 10. 2. 09:00

 

 

 

2013.9.22(일)

 

 

비박지 출발(10:10)_ 구름재, 사나사 갈림길(10:35)_ 사나사(12:34)

 

 

 

 

밤에 비가 살짝 내리고 바람이 몹시 불었다.

텐트 위로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가 건반 두드리는 소리처럼 또렷하게 들렸다.

그리고 엄청난 바람소리가 정상쪽에서 났다.

정상 전망데크에 눕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생각했다.

 

 

 

6시가 조금 넘은 시각에 눈을 떴지만 일출을 맞으러 나가진 않는다.

어제 저녁과 마찬가지로 흐린 날씨다.

다시 잠은 오지 않고.......간간히 떨어지는 빗방울을 누워서 듣는다.

 

 

 

 

 

 

 

 

 

 

밤중에 빗소리를 어렴풋이 듣고 상당히 걱정했다.

오늘 갖고 온 하이라이트 텐트는 내수압 900mm로 잘못하다간 수해를 입을 수 있다.

그런데 다행스럽게도 텐트 안으로 비가 들어오진 않았다.

가을비는 장인 구렛나루 밑에서도 피한다.

 

 

 

 

 

 

 

 

 

 

 

 

요즈음 등짐의 경량화에 대해 상당히 신경 쓰고 있다.

전에 친구에게 주었던 플래티퍼스를 다시 구입했다.

장비를 보는 관점이 요즈음 많이 바뀌었다.

 

 

 

 

 

 

 

 

 

 

 

 

 

 

 

 

 

 

 

 

 

 

 

 

 

 

 

 

 

 

 

 

 

 

 

 

 

 

 

 

 

 

 

 

 

 

 

 

 

 

 

 

 

 

 

 

 

 

 

 

 

 

 

 

 

 

 

 

 

 

 

 

 

 

 

 

 

 

 

 

 

 

 

 

 

 

 

 

 

 

 

 

 

 

 

 

 

 

 

 

 

 

 

 

 

 

 

 

 

 

 

 

 

 

 

 

유명산의 고랭지 채소밭이 산등성이에 보인다.

 

 

 

 

 

 

 

 

 

 

 

 

지난 덕두원 비박산행 때 코베아의 티탄56이 망가졌다.

상한 나사가 사라지고 버너 지지대가 제멋대로 놀았다.

그후 혼자 다닐 때는 만일에 대비해 버너를 항상 두 개씩 갖고 다닌다.

위는 옵티머스의 크럭스 라이트다.

화력도 좋고 코펠을 안정감 있게 받쳐주지만 화력 조절이 힘들다는 것이 단점이다.

 

 

 

 

 

 

 

 

 

 

 

 

 

 

 

 

 

 

 

 

 

 

 

 

 

동강 백운산 비박산행 때 1리터 날진을 잃어버렸다.

오늘은 0.5리터 날진 수통으로.......카라비너로 안전장치를 했다.

항상 저렇게 하고 다녔는데 왜 그날은 그냥 갔는지 모르겠다.

 

 

 

 

 

 

 

 

 

 

 

 

보기완 달리 뾰족한 잔돌이 상당히 많아 잠을 편히 자지는 못했다.

 

 

 

 

 

 

 

 

 

 

 

 

 

 

 

 

 

 

 

 

 

 

 

 

 

 

 

 

 

 

 

 

 

 

 

 

 

 

 

 

 

 

 

 

 

 

 

 

 

 

 

'왕의 남자'에서 그 패거리들이 춤추던 억새밭,  맞은편에 보인다.

 

 

 

 

 

 

 

 

 

 

 

 

 

 

 

 

 

 

 

 

 

 

 

 

 

 

 

 

 

 

 

 

 

 

 

 

 

 

 

 

 

 

 

 

 

 

 

 

 

 

 

 

어젯밤 너무 늦게 도착한 몇 팀은 형제우물가로 향했다.

 

 

 

 

 

 

 

 

 

 

 

 

 

 

 

 

 

 

 

 

 

 

 

 

 

 

 

 

 

 

 

 

 

 

 

 

 

 

 

 

 

 

 

 

 

 

 

 

 

 

 

 

 

 

 

 

 

 

 

 

 

 

 

 

 

 

 

 

 

 

 

 

 

 

 

 

 

 

 

 

 

 

 

 

 

 

 

 

 

 

뭐 뚜렷한 역사적 기록은 없다. 그러나 전설은 이렇다.

후기신라 말 한반도는 혼란이 극에 달했다.

이 양근(양평의 옛이름) 지역에 함씨 성을 가진 호족이 있었는데,

그는 그 혼란기에 왕건의 편에 섰고 나중에 개국공신이 된다.

광평시랑 함규로 양평 함씨의 중시조다.

그가 세운 성터의 흔적이 남아 있다.

전설이다 보니 또 다른 전설도 있기는 하다.

 

 

 

 

 

 

 

 

 

 

 

 

 

 

 

 

 

 

 

 

 

 

 

 

 

 

 

 

 

 

 

 

 

 

 

 

 

 

 

 

 

 

 

 

 

 

 

 

 

 

 

 

 

 

 

 

 

 

 

 

 

 

 

 

 

 

 

 

 

 

 

 

 

 

 

 

 

 

 

 

 

 

 

 

 

 

 

 

 

 

 

 

 

 

 

 

 

 

 

 

 

 

 

 

 

 

 

 

 

 

 

 

 

 

 

 

 

 

 

 

 

 

 

 

 

 

 

 

 

 

 

 

 

 

 

 

 

 

 

 

 

 

사나사.

이 사찰은 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아주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나라에 환란이 들 때마다 화재로 여러 번 소실되었다.

일제의 침략이 있던 초기 시절, 의병들이 모여 든다 하여 불태워진 후

다시 세워졌다.

 

 

 

 

 

 

 

 

 

 

 

 

3층석탑

 

 

 

 

 

 

 

 

 

 

 

 

석불입상.

얼굴 모습이 특이하다. 아마 인도인인 듯하다.

 

 

 

여기서 택시를 불렀다.

양평 택시에 전화하니 옥천 택시를 부르라 한다.

목적지가 옥천냉면 집이라 했더니만.

 

 

 

114에 전화해 옥천 택시 전화번호를 물으니 전화부에 없단다.

양평 옥천? 어쩌구 하더니 전화번호 알려준다.

전화 걸어 온 택시 타고 가면서 옥천냉면 집으로 가자고 하니 깜짝 놀란다.

자신은 양평 택시란다. 어절씨구.......

옥천은 서울 방향으로 조금 나가야 하기 때문에 양평서 사나사까지 온 요금을 합산해 달란다.

옥천냉면 집까지 1만 2천 원.

점심을 먹은 후 귀가는 아신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