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길/산행

삼성산

난다데비 2013. 9. 16. 09:00

 

 

 

2013.9.8(일)

 

 

 

들머리(10:25)_ 정상, 점심(1:00-2:35)_ 탁족(3:20-4:00)_

무너미고개(4:20)_ 탁족(4:40-5:00)_ 하산 완료(5:50)

 

 

 

 

 

 

오늘은 고교 동기들이 함께 산행하는 날이다.

관악산 옆의 삼성산에 처음으로 오른다.

안양 쪽에서 정상까지 오른 후 무너미고개를 거쳐 서울대 방향으로 하산한다.

477미터에 지나지 않는 높이지만, 관악산 옆집답게 아기자기한 암릉길의 연속이어서 즐겁게 걷는다.

 

 

야트막한 산이지만 보는 재미 걷는 재미가 솔솔한 산이다.

산행을 마치고 집에 와 인터넷으로 산에 대해 알아본다.

원효  의상 윤필 세 고승이 677년에 삼막사를 지어 도를 닦으니

삼성산이라 불렀다 한다.

그러고 보니 정상 근처에서 삼막사을 내려다 보며 좀더 조망이 좋은 곳에서 사진을 찍어야지 생각했는데

결국은  사진 한 장 남기지 않았구나.

1839년 기해박해 때 서양의 세 신부가 처형을 당하고 묻혔다 하니

이 또한 삼성산이란 이름과 기막힌 인연을 갖는구나.

 

 

 

 

 

 

 

 

 

 

 

 

관악역 2번 출구에서 10여 분 거리에 있는 안양예술공원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관악산 산행 인구도 많지만 이곳 들머리의 인파도 많아 놀란다.

 

 

 

 

 

 

 

 

 

 

 

 

조금만 올라서면 안양 시내가 보인다.

역시 시간은 흐른다.

너무나 무더워, 올 것 같지 않던 가을이 코 앞에 와 있다.

며칠 동안 온도가 상쾌했는데 오늘은 좀 덥다. 게다가 안개가 뿌옇게 끼어 조망이 썩 좋지는 않다.

 

 

 

 

 

 

 

 

 

 

 

 

 

 

 

 

 

 

 

 

 

 

 

 

 

 

 

 

 

 

 

 

 

 

 

 

 

 

 

 

 

 

 

 

 

 

 

 

 

 

 

 

 

 

 

 

 

 

 

 

 

 

 

 

 

 

 

 

 

 

 

 

 

 

 

 

 

 

 

 

 

 

 

 

 

 

 

 

 

 

 

 

 

 

 

 

 

 

 

 

 

 

 

 

 

 

 

 

경인교육대학

 

 

 

 

 

 

 

 

 

 

 

 

이 표지목을 찍고 학우봉을 거쳐 왔다고 친구들에게 말하다 창피를 당한다.

이 표지목이 있는 곳은 우회 산행로이고,

왼쪽 암릉길 꼭대기가 학우봉이다.

 

 

 

 

 

 

 

 

 

 

 

 

 

 

 

 

 

 

 

 

 

 

 

 

 

 

 

 

 

 

 

 

 

 

 

 

 

 

 

 

 

 

 

 

 

 

 

 

 

 

 

 

 

 

 

 

 

 

 

 

오른쪽 끝 위에 누군가 쌓아 올린 탑이 보인다.

 

 

 

 

 

 

 

 

 

 

 

 

 

 

 

 

 

 

 

 

 

 

 

 

삼성산 정상

 

 

 

 

 

 

 

 

 

 

 

 

산이 좋아 그렇게 싸돌아 다녔으면서도 바로 옆에 있는 이 산을

이렇게 늦은 찾은 것에 대해 가슴을 친다.

 

 

 

 

 

 

 

 

 

 

 

 

그래도 먹고는 살아야 한다.

 

 

 

 

 

 

 

 

 

 

 

 

 

 

 

 

 

 

 

 

 

 

 

 

관악산 정상

 

 

 

 

 

 

 

 

 

 

 

 

 

 

 

 

 

 

 

 

 

 

 

 

저 기도처 앞에 우물이 있다.

두레박도 있지만 마셔도 될 물인지는 모르겠다.

친구들은 벌컥벌컥 잘도 들이마시는데 나는 등목을 하고 싶다.

 

 

 

 

 

 

 

 

 

 

 

 

 

 

 

 

 

 

 

 

 

 

 

 

 

계곡의 물이 완전히 말랐다.

 

 

 

 

 

 

 

 

 

 

 

 

물이 조금 남아 있는 곳을 찾아 금년 마지막 탁족이라 생각하고 발을 담군다.

그러나.......

 

 

 

 

 

 

 

 

 

 

 

 

일단 일행이 두 팀으로 나뉘어진다.

인천 쪽 친구들은 안양유원지 방향으로 내려가고,

서울 친구들은 무너미고개를 넘어 서울대 방향으로 간다.

 

 

 

 

 

 

 

 

 

 

 

 

 

 

 

 

 

 

 

 

 

 

 

 

 

 

 

 

 

 

 

 

 

 

 

 

 

 

 

 

 

 

 

 

 

 

 

 

생각보다 더운 날씨다.

다시 마지막이라 생각하며 발을 담군다.

 

 

 

 

 

 

 

 

 

 

 

 

호수공원

 

 

 

 

 

 

 

 

 

 

 

 

 

 

 

 

 

 

 

 

 

 

 

 

 

관악산 입구 만남의 광장

 

 

 

 

 

 

 

 

 

 

 

 

뒤풀이는 서울대 근처 박막래 청진동해장국집에서.

맛도 좋지만 가격표를 다시 보게 되는 집.

 

 

 

 

 

 

 

 

27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