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길/백패킹

봉미산 백패킹 2일

난다데비 2013. 9. 4. 09:00

 

 

 

 

2013.8,25(일)

 

 

 

 

 

오전 6시 잠에서 깨다

 

 

서늘하다.

오랫만에 침낭 안에서 잤다. 일교차가 커진 것 같다.

눈 뜨고 본 첫 풍경을 카메라에 담고 다시 잠에 빠진다.

 

 

 

 

 

 

 

 

 

 

9시 30분 다시 잠에서 깨다

 

 

일회용 드립커피

 

 

 

 

 

 

 

 

 

 

 

 

아침 식사로 준배해 온 청정원의 컵국밥 시리즈 가운데 콩나물해장국밥.

컵은 버리고 안의 내용물만 챙겨 와 끓여 먹었다.

썩 좋은 맛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실망할 정도도 아니다.

비박산행용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식품이 하나 더 생겼다.

 

 

 

 

 

 

 

 

 

 

 

 

제로그램의 옻칠수저.

그 숫자를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여러 번 옻칠한 수저다.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중국산 옻칠수저와는 완전히 급이 다르다.

젓가락 끝부분은 오톨도톨해 미끄러짐을 방지해 준다.

식사를 할 때 상당히 편하고 심리적으로 포근하다.

결정적 약점은 비싸다는 것.

 

 

 

 

 

 

 

 

 

 

 

 

 

 

 

 

 

 

 

 

 

 

 

 

오늘 오전에 정상에 가려 했다. 그러나 그냥 늘어진다.

벌써부터 푹푹 찌는 날씨다. 옆 계곡에 앉아 물놀이 한다.

 

 

 

 

 

 

 

 

 

 

 

 

 

 

 

 

 

 

 

 

 

 

 

 

 

 

 

 

 

 

 

 

 

 

 

 

 

 

 

 

 

 

 

 

 

 

 

 

 

 

 

 

 

 

 

 

 

 

 

 

 

 

 

 

 

 

 

 

 

 

 

 

 

 

 

 

 

 

 

 

 

 

 

 

 

 

 

 

 

 

 

 

 

 

 

 

 

 

 

 

 

 

 

 

 

 

 

 

문제가 생겼다.

UV 필터와 ND 필터가 떨어지지 않는다.

애쓰느라 땀을 흘린다. 그런데 어느 순간 힘도 쓰지 않았는데 스르르 풀린다.

예전에도 그런 경험이 있었는데.......

 

 

 

 

 

 

 

 

 

 

 

산을 오르는 대신 산책에 나선다.

이 산의 다른 이름이 속리산이라 하지 않았던가. 사람 발길이 뜸한 곳이다.

산행을 온 두 팀을 만난다.

이 길로 오고 싶어 온 것이 아니라 정상적인 산행로를 놓쳐 이곳까지 왔다고 한다.

 

 

 

 

 

 

 

 

 

 

 

 

 

 

 

 

 

 

 

 

 

 

 

 

 

 

 

 

 

 

 

 

 

 

 

 

 

 

 

 

 

 

 

 

 

 

 

 

주위를 둘러보아도 거칠고 거칠다.

 

 

 

 

 

 

 

 

 

 

 

 

 

 

 

 

 

 

 

 

 

 

 

 

철수를 하다

 

 

 

 

 

 

 

 

 

 

 

 

그라나이트기어의 팩 스터퍼.

디팩보다 폭이 훨씬 넓어 공간 활용도가 좋다.

게다가 무게도 훨씬 적게 나간다(대형의 경우 264:84).

그러나 자립식이 아니기 때문에 배낭의 꾸려진 모양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은 외면할 수 있다.

 

 

 

 

 

 

 

 

 

 

1시 철수

 

 

 

 

 

 

 

 

 

 

 

 

 

 

후텁지근하다.

나오는 길에 웃옷 계곡에 던졌다가 입기.

 

 

 

 

 

 

 

 

 

 

 

 

 

 

 

 

 

 

 

 

 

 

 

 

 

 

 

 

 

 

 

 

 

 

 

 

임도를 따라 빙 돌아 가 볼까?

몇 발자국 옮기다 포기, 너무 덥다 더워.

그냥 냇가로 질러 가자.

 

 

 

 

 

 

 

 

 

 

 

 

어제 들어오며 보지 못했던 모습을

오늘은 어쩌다 뒤돌아 본다.

 

 

 

 

 

 

 

 

 

 

 

 

 

 

 

 

 

 

 

 

 

 

 

 

 

 

 

 

 

 

 

 

 

 

 

 

 

 

 

 

 

 

 

 

 

 

 

 

 

 

 

 

 

 

 

 

 

 

 

 

 

 

 

 

 

 

 

 

 

 

 

 

 

 

 

 

 

 

 

 

 

 

 

 

 

 

 

 

 

 

 

 

 

 

 

 

 

 

 

 

 

 

 

 

 

 

 

 

외지고 외진 이곳에도 개발 붐이 불고 있다.

마지막 민가 바로 밑에 2층짜리 상업 건물이 세워지고 있다.

그리고 그 바로 밑에 폐가 서너 동이 또 있는데 누군가 군침을 흘리고 있을 것이다.

 

 

 

 

 

 

 

 

 

 

 

 

 

 

 

 

 

 

 

 

 

 

2시 20분 산행 종료

 

 

내려오면서 머리가 복잡했다. 서울로 올라갈 일이 막막하다.

차들이 얼마나 밀릴까?

그러나 걱정했던 것만큼 밀리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