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다데비 2008. 10. 29. 13:03

 

 

2008.10.26(일)

 

 

 

몸살기가 있어, 집에서 뒤척이다 오후 3시경 집을 나섰다. 어제 창덕궁에 다녀왔는데, 오늘은 내친김에 경복궁으로 갔다.

 

 

태조 이성계는 조선을 세운 후, 서울에 도읍을 정하고, 자신이 기거하며 국사를 돌볼 경복궁을 지었다. 북악산 앞에 남북으로 반듯하게 세운 이 거대한 궁궐에서 자신의 대를 잇는 후손들이 통치하기를 바랬지만, 결과는 그렇지 못했다. 정종 세종 문종 단종 정도가 이곳에 기거했고, 후일 대부분의 조선 왕들은 태종이 지은 창덕궁에서 국사를 돌보았다.

 

 

서울의 5궁 가운데 정궁이라 할 수 있지만, 여러 번의 화재로 불탔었고, 일제 침탈 시에는 조선총독부가 들어앉기까지 했다. 게다가 남아 있던 전각들도 대부분 일본으로 넘어가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것들은 근대에 이르러 복원한 것들이다. 가슴 뛰는 역사도 서려 있지만 가슴 맺히는 한도 깃든 곳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창덕궁을 관람할 때는 여러 제약이 있지만, 더 큰 궁궐인 이곳은 오히려 비교적 자유스럽게 돌아다닐 수 있다. 그만큼 관람인원도 훨씬 많았다. 내가 오늘 디뎠던 어느 곳, 아니 많은 곳들에 세종도 발을 디뎠을 것이다. 문화재를 감상하는 것 못지 않게 시간을 뛰어넘는 만남의 이 기쁨 또한 크다.

 

 

 

 

 

 

 

 

 

 

 

 

 

 

 

 

 

 

 

 근정전. 마침 어떤 의식이 거행되고 있었다.

 

 

 

 

 

 

 

 

 

 

 

 

 

 

 

 

 

 

 

 

 경회루. 우리나라 최대의 목조누각.

 

 

 

 

 

 

 

 

 

 

                      청와대. 경복궁 바로 뒤에 있다. 따라서 경복궁 주변에서 많은 전경들을 만나게

                     된다.

 

 

 

 

 

 

 

 

 

 

 

 

 

 

 

 

 

 

 

 

 

 

 

 

 

 

 

 

 

 

 

 

 

 

 

 

 

 

 

 

 

 

 

 

 

 

 

 

 

 

 

 

 

 

 

 

 

 

 

 

 

 

 

 

 

 

 

 

 

 

 

 

 

 

 

 

 

 

 

 

                      향원정

 

 

 

 

 

 

 

 

 

 

 

 

 

 

 

 

 

 

 

 

 

 

 

 

 

 

 

 

 

 

 

 

 

 

 

 

 

 

 

 

 

 

 

 

 

 

 

 

 

 

                       국립중앙박물관. 경복궁 궁내를 돌아다니다 잠시 밖으로 나와 박물관 구경을

                    한 후 다시 궁내로 들어왔다.

 

 

 

 

 

 

 

 

 

 

 

 

 

 

 

 

 

 

 

 

 

 

 

 

 

 

 

 

 

 

 

 

 

 

 

 

 

 

 

 

 

 

 

 

 

 

 

 

 

 

 

 

 

 

 

 

 

 

 

 

 

 

 

 

 

 

 

 

 

 

                       해시계

 

 

 

 

 

 

 

 

 

 

 

 

 

 

 

 

 

 

 

 

 

 

 

 

 

 

 

 

 

 

 

 

 

 

 

 

 

 

 

 

 

 

 

 

 

 

 

 

 

 

 

 

 

 

 

 

 

 

 

 

 

27173